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가 심화하면서

지역발전 불균형은

특정 한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도권을 제외한 전체 지역의

경제위기와 인구소멸 위기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3월 이달의 ERT에서는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사회 공동대응의 필요성과

ERT 기업들의 다양한 노력을 소개하고 합니다.



최근 20년간의 통계를 살펴보면

지역 간 성장의 불균형이 빠르게 심화하고 있는데요.


원래 인구규모가 큰 수도권이나 

광역시는 도시가 더 커진 반면,

작은 지자체는 '소멸 위기'로 불릴 만큼

 경제·인구 규모가 축소되고 있습니다.

 

농촌·산촌·어촌을 포함하는 ‘비도시’는

우리 국토 면적의 93.3%를 차지함에도

불과 9.2%의 인구만이 비도시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출생 문제의 심각성이 높아지면서

지역소멸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인구 자연증가* 통계에 따르면 

2010년, 214,800명이었던 것에 비해

10년이 지난 2020년, -32,700명으로

급격히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연증가는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를 뺀 값






지난 2021년, 정부는 인구감소 속도나 청년층의 이주,

높은 고령화 비율 등을 기준으로 지역소멸 위기에 처한

‘인구감소 지역’ 89곳을 지정해 발표했습니다.

 

이는 전체 기초지자체의 39%를 차지하며,

특히 전북과 강원지역은 인구감소지역 

비율이 70%에 이르는 상황입니다.

 

이미 인구감소가 시작된 지역은

교육·문화·복지 환경이 미흡해

청년층은 계속 인프라가 발달한 대도시로 이주하고,

지역의 경제·인구 위기는 끊임없이 심화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집니다.

 

이처럼 지역소멸 문제는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문제,

지역경제 문제, 청년문제와도 연결되어

해결이 중대하고 시급한 상황입니다.





2025년 ERT도 행정안전부와 함께

새로운 ‘지역-기업 협업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① 청년들에게 지역에서의 새로운 경제적, 

문화적 삶의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마을’ 사업

② 전국에 방치된 빈집을 정비해 활용하는 ‘빈집정비’ 사업

③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일하기 좋은

기업문화 만드는 ‘워케이션 사업’ 등

분야에서 행정안전부, 지자체와 ERT, 기업들이 협력해

지역소멸 위기 극복에 힘써보고자 합니다.

 

ERT기업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지역소멸을 막기 위해 ERT 기업들은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청년 지원, 지역 출생·육아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지속 가능한 도시마을 조성을 목표로

'도시혁신 스쿨 활동'을 운영하는 '포스코이앤씨',

지역 경제 발전과 임직원 복지 향상을 위한

'워케이션'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한화생명',

지역 청년들이 지역 내 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도록

'지역청년 지원사업'을 운영하는 '삼성생명'까지.

 

지역위기를 우리 모두의 위기로 인식하고

함께 해결하려는 자세로 인해

건강한 지역사회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ERT신기업가정신협의회는

37개의 주요 기업을 비롯한 1,748개의 멤버사와 함께

지역 소멸을 막고, 지역 사회의 부흥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힘을 합쳐 노력하고자 합니다.


이달의 ERT는 매달 여러분께

ERT사무국과 국내 기업의 여러 지원 사례를 소개해 드립니다.

더욱 자세한 이야기는 매주 수요일 이메일로 발송되는

ERT LETTER를 통해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